작성일 : 13-11-06 17:00
글쓴이 :
박양호…
 조회 : 6,412
|
● GOT(AST) 정상범위는 0∼40uL. 간세포가 파괴될 때 세포질에서 쏟아져 나오는 효소로 간세포 외에 다른 세포들에도 존재. 만성간염 시 수치가 300 이하지만 급성 시에는 500 이상이 되기도 한 다. 간경변, 암 등에서는 GOT>GPT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300을 넘는 경우가 드물다.
● GTP(ALT) 정상 범위는 0∼40uL. 간세포가 파괴될 때 쏟아져 나오는 효소로 간세포에만 존재. 따 라서 이 수치의 증가는 간세포 손상을 의미한다. 바이러스성 간염일 때에는 대개 GPT>GOT 경향 을 보인다.
● 표면항원(HBsAg) B형 간염 바이러스가 간세포로 들어갈 때 세포막 바깥에 벗어놓은 껍데기로 이것이 양성이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됐음을 의미.
● 표면항체(HBsAb) 표면항원에 대한 항체.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바이러스를 중화시 켜 간세포가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
● e항원(HBeAg)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증식할 때 만들어지는 중간 물질로 이것이 양성이면 바이 러스가 활발히 증식함을 의미.
● e항체(HBeAb) e항원에 대한 항체. e항원이 소멸되는 시기에 나타남.
● DNA probe B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 양성이면 우리 몸 안에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
● 알부민(Albumin) 정상 범위는 3.5∼5.2g/100ml. 알부민이 감소하면 간기능의 저하로 합성 기능 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그러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기 때문에 A(알부민)/G(총단백-알부민) 비율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A/G비율은 1.5∼2.2가 정상이며 A/G비율이 1.5 이하로 감소하면 영양불량 혹 은 합성기능 저하, 복수 증가를 의미한다.
● 총단백(T. Protein) 알부민양성글로불린. 총단백 정상 수치는 6.4∼8.0g/100ml.
● a-FP(알파태아성단백, α-Fetoprotein) 정상 수치는 0∼10ng/㎣. 간암환자의 70%에서3,000 이상으로 증가함. 간염, 간경변증 환자에서도 증가하는데 대부분 200ng/ml 이하이다. 그러나 간염 바이러스 e항원(HBeAg)이 양성일 때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일어나면서 3,000∼4000까지 상 승 하는 경우도 있다.
● LDH(젖산 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정상 수치는 100∼200u/L. 종양 세포에 서 이 효소가 다량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악성 종양의 존재 여부를 추정하는데 이용한다.
● PLT(혈소판수, Paltelet count) 정상 범위는 150,000∼450,000/㎣이다. 혈소판은 수명이 1주 일 정도이고 이것이 감소하면 혈관수축이 잘 안되기 때문에 지혈이 지연되거나 출혈이 잘 생긴다. 만성간질환이나 간경변증에서 혈소판 수는 감소하고 비장 비대(splenomegaly)에 비례해서 혈소 판수 감소 현상이 나타난다. 비장은 면역기구로 T세포와 대식세포가 가득한 데 이곳에서 바이러스 나암세포를 파괴하면서 비장이 붓는 비장 비대 현상이 일어난다. 비장은 바이러스나 암세포 뿐만 아니라 혈소판까지 파괴하기 때문에 혈소판 수가 적은 경우는 비장 비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 PT time(프로트롬빈시간, Prothrombine time) 정상 범위는 10∼14초. 프로트롬빈시간의 지연은상당한 간 손상을 의미하며 출혈시 지혈이 잘 안 되는 것을 의미한다.
● WBC(백혈구 수, White blood cell count : WBC) 정상 범위는 4,000∼10,000개/㎣. 백혈 구 수가 크게 증가하면 염증 반응, 조직 괴사, 종양, 바이러스 감염, 백혈병 등이며 백혈구 수가 크게 감소하면 비장 비대, 재생불량성 빈혈, 골수부전증 등이다.
● Bilirubin(빌리루빈) 정상 범위는 총빌리루빈(T. bilirubin)이 0.2∼1.2mg/100ml, 직접빌리루빈 (D.bilirubin)은 0∼0.5mg/100ml 빌리루빈이 증가하면 피부가 황색으로 변하는 황달이 일어나게 된 다.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파괴되어 생성되는데 간에서 글루콘산과 결합하여 직접빌리루빈이 되고 담즙으로 분비되게 된다. 총빌리루빈이 증가하면 급성 간염, 직접빌리루빈이 증가하면 만성 간염으 로 판단한다.
● ALP(Alkaline phosphatase) 정상수치는 30∼115㎕. 담즙 정체, 폐쇄성 황달, 간암, 간으로 전이된 악성 종양에서 고도의 상승을 보이며 바이러스성 간염이나 간경변에서 GOT, GPT의 상승 이 현저하면 약간 상승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