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 바이러스(킬러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 |||
암 치료가 어려운 것은 사실입니다. 이번 kbs스페셜에 방영된 내용은 암세포의 돌연변이에 관여하는 RAS경로, HIF(히프)에 대해 방영되었지요. 암세포는 그 속에 여러 가지 암세포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한 세포를 치료하면 또 다른 암세포가 확장을 하고 그 세포를 치료하면 또 다른 암세포가 확장을 하는 겁니다. 때문에 암세포의 확장은 빠르고 치료제의 개발은 늦고 환자는 지치고 면역력이 떨어져 결국 죽고 마는 것입니다. 이 돌연변이 암세포들도 다른 것 같지만 RAS라는 유전인자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킬러 바이러스는 인위적으로 천연두 바이러스의 독성을 제거하고 다른 유전적 변형을 유발시켜 이렇게
무한정 번식하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침입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이 프로에서 암 치료가 끝나면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모두 없앤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또 다른 부작용을 확신 할 수 없으니까요. 킬러바이러스도 단편적으로는 암세포를 파괴 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바이러스와 암세포의 진화의
승자가 누가 될 것 인지는 아무도 예측 할 수 없습니다. |
|||
BRM연구소 수요강좌 안내 | |||
|
*
제목 : 간(肝)질환 및 암(癌)의 최신 분자표적
치료 * 시 간 : 매주 수요일 2시~4시 (개별 상담은 구비서류 지참) * 장 소 : BRM연구소 강의장 (청취료 5,000) ※ 회원 가입 시 회원가입비가 있으며 2년 동안 회원자격이 유지됩니다. ※ 회원 가입 시 에만 개별상담이 가능 하며 가입 시 개별맞춤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 ☎ 상담전화 : 02) 484-1667 팩스 02) 484-1678 |
||
● BRM연구소의 RAS(라스)경로
차단, 현대의학&천연물요법의 통합치료면역증강물질, 암 줄기세포 연구는 어디까지 왔나? |
|||
|
|||
※ - P53 : 암 억제
유전자 - BCL2 : 암 증식 유전자 또한 각종 바이러스, 세균감염으로 인해 우리 체내에 면역계에 이상이 생겨 찾아온 간질환 및
암 환자의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물질과 암 줄기세포
제거 물질을 밝혀내 간질환 및 암 환자치료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유전적 변형을 가진 암 세포 이기에
기존 약 으로는 불가능하며 기존치료를 하더라도 HIF(저산소 유도인자)를 통한 암세포들의 부활을
언급 한 것입니다. 이러한 HIF를 이용한 |
|||
☎ BRM연구소 수요강좌 안내 : 대표전화 02) 484-1667 | |||
<출처 : KBS 스폐셜 - 암의 천적, 킬러 바이러스 2013년 3월 10일 방송> |
|||
킬러바이러스는 무적은 아닙니다. 다만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생긴 돌연변이 암세포를 조금이나마 더 확실하게 없앨 수 있는 대안일 뿐입니다. 체내 암 종양만 선택적으로 골라 세포를 죽이고 그 외 복합적인 전이 부분도 죽이다는 점에서
잠재성이 매우 높은 치료 현재 정맥 주사 형태로 임상 시험 진행 중이며 향후 암 치료의 큰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걸고 있는 데요 정상세포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고 암세포만 명확하게 공격하도록 만듦으로서 기존 화학 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효과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직은 킬러바이러스를 이용한 암 치료가 임상 단계에 있는 상태이고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암과 싸우고 계신 모든 분들에게 마른 우물에 샘물과도 같은 소식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황태호 박사는 JX-594라는 우두 바이러스를 이용해 간암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임상 시험에
성공했다 우리는 면역기능이 특히 상당히 만들어진 환자에게서 완치를
관찰했기 때문에 우리가 그런 연구를 통해 앞으로 향후 10년, 20년 과정을 거쳐
어떻게 하면 환자에게 황태호 소장님의 말씀처럼 암 치료에는 인체의 면역력이 가장 근본적인 솔루션입니다. 암 뿐 아니라 우리가 쉽게 걸리는 감기도 인체의 면역력이 갖추어져 있지 않는다면 |
무단 복제 및 도용은 저작권 침해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2004 by brmchunho.co.kr.All right reserved